카테고리 없음

자동차 전조등 셀프 교체하기 남영전구 H7

daegeon 2025. 1. 30. 11:40
반응형

운전을 하다 보면 차량의 전조등이 한쪽만 어두워지거나 갑자기 꺼지는 경험을 한 번쯤 해보셨을 것입니다. 보통 이럴 때 자동차 정비소에 가서 교체하는 경우가 많지만, 사실 전조등 교체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누구나 직접 할 수 있습니다. 오늘은 남영전구 H7을 사용하여 자동차 전조등을 셀프로 교체하는 방법을 상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 참고로 교체해볼 차량은 YF 쏘나타 차량입니다.

H7 전구는 차량의 전조등(로우빔, 하이빔)에 사용되는 제품으로, 직접 교체하면 공임비를 아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, 내 차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. 남영전구의 경우 가격대는 위와같이 형성되어있습니다. 차량에 따라 장착되어있는 모델이 다른데 검색해보면 쉽게 찾으실 수 있을겁니다.

자동차의 전조등(헤드라이트)에는 상향등(High Beam), 하향등(Low Beam)이 있으며, 두 가지는 조명의 밝기와 조사각(빛이 비추는 각도)에 차이가 있습니다. 위에 사진을 보시면 이해가 쉬우실 것 같습니다. 오른쪽이 상향등을 사용했을 때 이미지입니다.

제품을 개봉했을때는 단순한 구성으로, 조명만 들어있습니다. 이제 본격적으로 전조등을 교체하는 과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
엔진룸 열기 및 전조등 위치 확인

  • 차량의 본넷을 열고 전조등이 위치한 곳을 찾습니다. 사진에 표시된 빨간 박스를 따라서 찾아보시면 쉽게 찾으 실 수 있을 겁니다. YF 소나타 기준으로는 두개의 전구가 위치해있으며 각각의 사진을 찍어봤습니다.
  • 일반적으로 전조등은 헤드라이트 하우징 뒤쪽에 위치해 있으며, 플라스틱 커버나 고무 캡으로 보호되어 있습니다. 사진은 플라스틱 커버를 제거한 상태인데,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탈거 후 확인 하면 위와 같은 케이블이 보이게 됩니다.

기존 전조등 탈거하기

  • 사진상에 보이는 케이블을 뽑아줍니다.
  • 전구를 고정하고 있는 클립이나 소켓을 확인합니다.
  • 클립을 살짝 눌러서 고정 장치를 해제한 후 전구를 조심스럽게 빼냅니다. 클립의 경우 안쪽으로 누르면서 열어주시면 쉽게 고정이 해제됩니다.
  • 기존 전구를 제거할 때 전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.

새 전구 장착하기

  • 새로운 남영전구 H7 전구를 준비합니다.
  • 전구의 금속 베이스 부분을 잡고 장착 위치에 맞게 끼워 넣습니다. 사진과같이 전구에 홈 부분이 아래쪽을 향하게 넣으시면 됩니다.
  • 전구가 흔들리지 않도록 클립으로 단단히 고정합니다.
  • 보호 캡을 다시 장착하여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마무리합니다.

전조등 정상 작동 확인

  • 차량의 시동을 걸고 전조등을 켜서 정상적으로 점등되는지 확인합니다.
  • 좌우 밝기를 비교하고, 이상이 있다면 소켓 연결을 다시 확인해 주세요.

전조등을 교체한 후에도 꾸준한 점검과 유지 관리가 필요합니다.

  • 전조등 밝기 주기적으로 확인하기 : 전구의 밝기가 점점 약해지면 즉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. 한쪽 전구만 교체하면 좌우 밝기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, 가급적이면 양쪽 전구를 동시에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전구 표면 청소하기 : 전조등의 외부 커버가 오염되면 빛 투과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. 가끔씩 마른 천이나 유리 세정제로 전조등을 닦아주면 더 밝은 조명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  • 헤드라이트 광축 조정 확인 : 전구를 교체한 후 빛이 너무 위로 향하거나 아래로 떨어지면 헤드라이트 광축을 조정해 주세요. 일부 차량은 전조등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.

자동차 전조등 교체는 생각보다 어렵지 않으며, 가성비 좋은 품질과 긴 수명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 셀프로 교체하면 공임비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, 직접 차량을 관리하는 뿌듯함도 느낄 수 있습니다.이제 정비소 방문 없이 스스로 전조등을 교체해 보세요, 안전한 야간 운전을 위해 주기적인 점검과 교체를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.

반응형